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5

찌들리다vs찌들다 맞는말 뜻은? '매연에 찌들린 도시' '가난에 찌들리다' 이처럼 물건이나 공기 따위에 때나 기름이 들러붙어 몹시 더러워지다,,, 혹은, 좋지못한 상황에 오랫동안 처해 그상황에 몹시 익숙해지다. 라는 뜻으로 '찌들리다'라는 표현을 할때가 있습니다. 이말은 틀린말이라고 합니다.!!! 맞는말은,,, 찌들리다(X)가 아니라 찌들다(0)입니다. 찌들리다,,, 찌들다에 피동형 처럼 보이지만 찌들다 라는 말은 이미 피동의 의미를 담고있기 때문에 굳이 피동형을 만들어 쓸 필요가 없죠. 즉, '찌들리다'는 없는말. 틀린말 이고. '찌들다'만 맞는말이라고 합니다. 오늘도 찌들리다vs찌들다 함께 알아봤습니다. 내일도 재미난 우리말 정보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2020. 1. 27.
설을 쇠다 설을 세다 쇠다 세다? 뜻 맞는말은?틀린말? 안녕하세요^^ 설날 찾아온 메이킷입니다. 오늘은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입니다... 가족 친지들과 즐거운 시간들 보내고 계신가요? 그런데 설을 세는것인지 설을 쇠는것인지 헷갈려 하시는 분들 아마 계실껍니다. 저도 궁금하네요^^ 설은 세는것이 아니구요 쇠는것이라고 하네요.. 쇠다 뜻은 명절이나 생일, 기념일같은 날을 맞이하여 지내다.. 라는 뜻으로 '설을 쇠다' '생일을 쇠다' 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반면 세다 뜻은 기세가 강하다 사물의 수를 헤아리다 머리카락이나 털이 희어지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그는 힘이 세다.' '하늘에 별을 세다.' '눈썹이 하얗게 세다.' 처럼 쓰이죠^^ 이젠 세다와 쇠다의 차이점 잘 아시겠죠? 저도 이번 설을 잘 쇠도록 하겠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구요 새해 복 많이 .. 2020. 1. 25.
꼬라박다/꼬라보다/노려보다/표준어? 무슨뜻? 맞는표현은? 명절 연휴 잘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도 짧게 우리말 공부 함께 해보시죠^^ 비속어가 아닌데도 억울하게 비속어 취급을 받는 말들이 있는데요,,, 그중에 하나가 바로 '꼬라박다'입니다. '자전거를 시궁창에 꼬라박았다.' 처럼 쓰죠. 꼬라박다 뜻은 엄연한 표준어로 '거꾸로 내리 박다' 혹은 '돈 따위를 어떤 일에 헛되이 써 버리다' 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재미있는데요,,, 한편, 사람을 노려본다고 표현할 때 '꼬라보다'라는 말도 종종 쓰는데요,,, 이 말은 표준어가 아니라고 합니다. 이럴 때 쓸 수 있는 말은 '노려보다'입니다. 뜻은 미운 감정으로 어떠한 대상을 매섭게 계속 바라보다. 탐이 나서 눈독 들여 겨누어 보다. 라고 합니다. 우리말 참 재미있네요. 이웃님들 오늘도 하루 고생하셨구요 내일 뵙겠습니다.. 2020. 1. 24.
잘 알려진 일화라는 말 일화 뜻? 메이킷입니다. 오늘도 좋은 우리말 정보 시간입니다. 함께 알아보시죠^^ '세종대왕에 대해 잘 알려진 일화' 이 문장에 틀린곳이 하나 있습니다... 어디일까요? 저도 아리송 한데요,,, 바로 '잘 알려진 일화' 라는 표현입니다. 일화 라는 단어를 살펴봐야되는데 일화의 뜻은 숨을 일(逸) 이야기 화(話)가 합쳐 이뤄진 말로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흥미있는 이야기를 뜻하는 말이라고 하네요^^ 즉, 일화는 숨겨진 이야기라서 잘 알려진 일화... 라고쓰면 어색하죠. 널리알려진 말을 일컬을때는 '잘 알려진 이야기"나 유명한 이야기 혹은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말할때는 그냥 일화 라고 하는게 올바른 표현이라고합니다. 편안한 밤되세요^^ 2020. 1. 22.
짜잘하다/자잘하다 어떤게 맞는 말일까요? "짜잘한 일들에 너무 신경쓰지 마세요." "짜잘한 잡음이 계속된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짜잘하다' 라는 표현을 자주 쓰죠? 하지만 'ㅉ'에 짜잘하다가 아닌 'ㅈ'을 쓴 자잘하다가 올바른 말이라고합니다. 자잘하다 뜻은 크게 두가지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첫번째는 여럿이 다 가늘거나 길다 라는 뜻과 두번째는 여러가지 물건이나 일 또는 생각이나 행동이 작고 소소하다 라는 뜻이 있다고 합니다. '작다'는 의미를 강조하는 느낌에 '짝다'라는 말이 잘못된 표현인것 처럼 아무리 작은 물건이나 일, 생각이나 행동이라도 '짜잘하다'가 아닌 '자잘하다'라고 표현해야 옳다고합니다. 오늘도 저도 몰랐던 알쏭달쏭 우리말 공부 함께 해봤습니다. 내일도 좋은 정보가지고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0. 1. 21.
우리말 정보 소매귀 소맷깃 소매깃 소맷귀 뜻 어떤게 맞는말? 어떤일을 할때 진짜 열심히 적극적으로 임하는 모습을 보고 그사람을 말할때 소매를 걷어붙이고 일한다 라고 말 할때가 있죠. 옷이 거추장 스럽지 않도록 소매깃을 접어걷어올리고 일하는 모습에서 비롯된 관용표현입니다. 그런데 많이 쓰는 '소매깃' 이말이 틀린 말이라고합니다. 바른말은 '소맷귀'가 올바른 단어라고합니다. 소맷귀 뜻은 옷소매에서 손에 가까운 쪽으로 트인부분인 소맷부리의 구석 부분을 나타내는 말이라고합니다. 그러니까 설거지를 하려고 소매깃을 접어 올렸다가 아니라,,, 설거지를 하려고 소맷귀를 접어올렸다가 올바른 우리말이라고 합니다. 오늘도 저도 몰랐던 우리말 정보 기분좋게 배우고 갑니다. 글 읽어주셔서 너무 감사드리며 복받으실껍니다...^^ 2020. 1. 20.
오랜숙원/오랜숙원사업 틀린말이죠 맞는말은? 일요일 오후 메이킷입니다. 우리말 정보 하나 알려드릴께요^^ 함께 공부해요~ "그 일의 마무리는 오랜 나의 '숙원'이였다" "내집마련은 오랜 '숙원'사업이였다" 이처럼 오랜 숙원 오랜 숙원사업 이라는 말을 종종 듣습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표현 이라고하네요^^ 오래전부터 품어온 염원이나 소망 이란 뜻의 '숙원'에 이미 '오랜'이란 뜻이 들어가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오랜숙원은 오랜바람 또는 그냥 숙원 이라고 쓰면된다고합니다. 혹시 올해 초에 꼭 이루리라 다짐했던게 있었다면 다시한번 힘을 내셔서 그 숙원 꼭 이루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우리말 정보 함께 공부해봤습니다.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2020. 1. 19.
경영진들 임원진들 "진" "무리" "들" 뜻중복표현 알아보기 회사로 전달되는 편지중에서 간혹,, 임원진들에게 경영진들에게 라는 표현을 볼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임원진들 경영진들 이라는 단어 뭔가 어색한거 느끼시나요???^^ 사실 복수를 나타내는 "들"을 붙이지 않고 경영진 임원진 이라고만 해도 집단이라는 의미를 충분히 표현할수 있습니다. 진이라는 단어가 무리라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그리고 여러분들 이라는 표현도 있는데 복수를 뜻하는 "여러"와 복수표현인 "들"도 같이 사용해선 안된다합니다. 토요일 휴일 편안하게 보내시구요 항상 방문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복받으실껍니다...^^ 2020.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