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 알려드림

한센병이란?한센병 한눈정리

by 메이킷_makeit 2016. 8. 8.
반응형

안녕하세요 다있는블로그입니다.

어떻게..주말은 잘보내셨어요?ㅎㅎㅎㅎ

주말엔 가까운 계곡으로 휴가는아니고 잠깐

바람쐬러 다녀왔습니다. 가서 토종닭백숙

한마리 뜯고 바로 집으로 고고싱^^

더위에는 물이 최고입니다...ㅎㅎㅎ

 

음...오늘의 다알려드림 주제는 한센병입니다.

얼마전에 인기리에 방영되고있는 그것이알고싶다

라는 프로그램있죠? 저도 거의 주말에 약속이

없으면 본방사수를 하는 시청자입니다.

무조건 1순위로 챙겨보는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의 주제가 "한센병"이였는데

사람들이 들어는 봤어도 어떤 병인지는

알지 못하는것 같아서 오늘 제가 대신해서

한눈에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영어로는 "leprosy"(레프러시)라고합죠...

흔히 옛날부터 "나병"이나"문둥병"이라고 들

많이 불려졌습니다. "전염병"중에 한종류인데

정말 끔찍하게 엄청난 차별을 받았던 전염병중

거의 1등2등을 다투었던 아주 악명높은 병이였죠..

하지만 이 병은 의외로 전염성이 낮은걸로 학회에

보고가 되어있는데요 그래서 거의 몇몇극소수의

사람에게만 전염(감염)이되어 발병한다고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차별을 받고 사람들이 무서운 전염

병으로 인식을 하고 대충 알고있는 이유는 피부(살)이

문드러지고 몸이 기형이되버리는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이죠... 생각만해도 징그럽고 두렵네요..ㅠㅠ

 

이렇듯....

몸이 흉하게 변해버리는 탓에 예로부터 우리조상

님들은 하늘이 내린 징벌이라해서 "천형병"이라

고도 부르셨다고합니다. 또한 한의학에서는

"대풍라""가라""풍병"이라고 불렸고 현재는 일부 의학적

용어에서는 나병으로불리되 사회적으로에서는 한센병으로

순화하여 부름이 통칭한다. 피부가 문드러지고

몸에 기형이와서 변해버리니 지역사회나 세상으

로부터 한센병 환자들은 철저히 외면받아야했고

정말 살이있는게 아닌 살아서도 사형선고를

받아 살아가는 거랑 별반 다를께 없었죠...

 

조금더 구체적으로 정리를 해보도록 하죠.

이병은 "나균"에의해서 감염이되는 "전염성 질환"이에요..

그럼 나균이 뭐냐.. 이걸 알고 넘어가야되겠네요~

"그람양성 박테리아"의 한가지 종류인데요 지구상

열대지역과 온대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견이되는

박테이아의 일종입니다. 노르웨이 의사 한센이

발견하고 1874년에 발표한 병원균. 학명은

"미코박테리움 레프라에"이고 세포내 여러가지

형태를 가진 다형태성 "항산성"(보통의 염기성 색소로

세균이 염색이 잘 되지 않는데 한번 염색이되면

강한 산성에 의해서도 탈색이 되질 않는 세균들을

항산성이라고 함)세균입니다.

아직까지 인공배양에 성공을 하지 못해서 현대

기술로 이 균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척이

되지를 않고있는데 최근에는 쥐등 동물실험을

이용한 시험이 진행이되고있습니다.

 

 

이 병원체로 인해서 전염이되는데 전염은 통상

적으로 가족끼리 장기간 동거를 하며 접촉으로

전파되 감염이 되는걸로 알려지고있으나 현재까지

도 감염경로는 정확히 밝혀지지않았어요..그래도

대략추측은 상처가있는 피부를 통해서 감염이

되는걸로 추측을 하고만 있을뿐......

 

그러면 "한센병증상"을 한번 알아봐야겠죠?

잠복기간은 사람마다 다른데, 짧게는 몸속에

침투한 균의특성에 따라 9개월에서 길게는 20년까지

잠복을하고있습니다. 정말 다양하죠..잠복기기간이...

잠복기간이 끝난후 피부에 나타나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서 두가지로 나뉩니다. 첫번째로는 "나종한센병"

과 두번째로"결핵한센병"이렇게 두가지의 종류로 나뉘져요.

잠복기로 크게 구분을 할수있는데 첫번째인 나종한센병

의 잠복기가 결핵한센병보다 두배정도 더 길어요..

그러니까 나종한센병이 더 오래 몸속에 숨어있다가

발견이되는거죠.. 증상으로는!! 온몸의 피부에 양쪽

대칭으로 결절이 생기고 구진등의 피부변화가 넓게 생기며

코에침투했을때는 코딱지가 왕창생기고 이어서 코막힘

때론 코피가지도 납니다. 눈에들어가면 우리가 잘아는

각막염이나 홍채염같은 질환을 일으키죠...

 

두번째 분류인 결핵한센병은 뚜렷한 피부염이

한개이상 신체에 비대칭적으로 퍼져서 나타나며

증상이 나타난 피부염 주위는 감각이 없고 반대로

과다 감각 상태(너무예민해진)가된다.

또한 결핵한센병은 나균이 말초신경(그러니까 손끝,발끝

등 신경의 최소단위)침투가 심해 증상이 심할수있어요..

 

현재 우리나라는 이 질환을 희귀병으로 분류를 하고있는데

왜냐하면 전체인구의 0.01%도 걸린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거의 걸린사람이 없다고 보시면되구요 이렇듯 전염병이

이라도 안심하셔도 될듯싶고 또한 발병이 되더라도

리팜핀/클로파지민/댑손등의 항생제를 이용해 치료를

받는다면 회복할수도 있으니 원인을 찾아서 의사와

상담하고하면 완치의 확율은 상당히 높아졌다고하니

몸에 감각이 없어졌다거나 하면 하루빨리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고 우리나라는 한센병이 걸리면 무상으로

치료를 해주고있다고 합니다.

 

오늘의 주제 한센병 한눈정리 여기까지

했구요 오늘하루도 즐거운하루 마무리하시구

활기찬 한주 시작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