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있는블로그입니다^^
오늘의 다있는 블로그 주제는 TV나 인터넷
기사에서 종종 심심치 않게 접하게되는 정신과
질환인 공황장애의 모든것을 쉽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요즘엔 의학이 발달되고
예전보단 살기가 좋아진 세상이 되었잖아요?
육체적인 아픔만이 치료의 대상이였던 옛날에
비하여 요즘엔 정신적인 치료도 그리 어렵게
보기 힘들고 많이 대중화 되었다고 생각이되요..
그래서 생각되는게 예전엔 정신계통의 질환 하면
사회에선 그리 좋지않은 시선 그리고
삐딱한 시선으로 처다보고 하는게 다반사였죠..
하지만 요즘엔 떠떳하게 나 이런 정신과 질환을
앓고있다는걸 오픈하고 공유해서 참 세상 많이
변해가고있구나..라는걸 새삼 깨닫게됩니다.
이런상황을 자연스럽게 만들어준게 바로 연예인
들이 아닐가 싶어습니다.. 먼저 얘기를 꺼내
대중들에게 알리고 소통하며 치료까지 받는걸
보며 대중들은 공황장애같은 정신과 질환이
연예인들도 밝히는데 나도 용기내서 알리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겠다라는 동기부여가
된 셈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특히 공황장애를 앓은 유명연예인들은 가장최근에
정형돈씨,김구라씨,이병헌씨,이경규씨,김하늘씨
차태현씨,김장훈씨등 톱스타들도 공황장애 환자
임을 오픈하고 고백했던적이 있었죠..
공황장애란 영어로는 PANIC DISORDER라고 하고
극단적인 불안 증상과 과 심한 불안발작이 동반되어
특별한 이유없이 예상하지 못하게 다양한 신체
증상들이 아무런 예고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불안
장애 증상이 하나인 주요한 특징적질환입니다.
"공황=패닉"
꼭 의학적으로 접근하지 않아도 엄청 놀라거나
진짜 불안한 상태가 되었을때 패닉상태에 빠졌다
라고하는데 공.황이란건 생명에 위협을 느낄
정도로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공포라고 생각하심
이해가 쉬우실듯 싶습니다.
병원에가서 진료를 받아야되는 진료과목은
정신건강의학과이고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대중
적인 일반사람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었고
지금은 여러 유명 연예인들이 공황.장애를 앓고
있다는걸 밝히면서 많이 알려지게 되었죠......
그럼,,,극단적인 불안한 증상은 아무이유없이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나타나게되는데 공.황발작이
주요한 특징을 동반하여 나타나게 됩니다.
공황발작이 뭐냐...
우리몸의 위험상황을 알리는 경보시스템이 오작동
을 일으켜 특별히 위험한 상황이 아닌데도 위협을
느끼는 상황같이 느끼는 반응을 공황발작이라고합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길거리를 걸어가는 데 반대편에서
사람이 걸어오고있습니다. 그사람은 칼도 들지 않았고
그냥 단순히 옆을 스쳐 지나가는 사람일 뿐인데
심장이 터질듯하게 빨리 뛰거나
반대로 두근거림이 멎을껏같기도하고, 가슴의 통증,
답답함, 어지럽고 쓰러질것같은 느낌, 어떠한 일이
일어나 죽을것같은 나쁜일이 생긴다는 비현실적인
생각이들고 식은땀까지 나는게 특징인 질환입니다.
좀 이해가 쉽게 되셨나요?ㅎㅎㅎ
공.황.장.애가 그럼 왜 생기는거냐..
그원인은 의학적으로 뇌를 구성하는부분중에
편도체(동기/학습/감정을컨트롤)라는부분이 있는데
사람은 이 편도체가 감지하는 외부의 자극신호로
불안하거나 공포스러움을 갖는데 반복적인 스트레스
그리고, 기존에 갖고있는 기질적인 원인등으로
편도체가 지나치게많이 예민해져 오작동을 일으키기
때문에 자꾸만 시도때도없이 오작동으로 불안하거나
공포스러운 신호를 뇌의 다른 곳으로 보내주기때문에
공황장애가 오고 생기는겁니다.
이 질.환을 앓고있는 사람들중 절반이상은 우울증을
동반하여 같이 앓고있다고합니다. 그리하여 알콜중독
범사회공포증,강박공포증등을 나타내어 공황.장애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수도있고 더 극단적인건 살아가는
의지와 의욕을 사라지게 만들어서 급기하 최악의
안좋은 상황까지도 만들수있는 아주 위험성이 높은
질환입니다. 이질환은 감기처럼 시간이지나면
저절로 낫는 질환이 아니라고합니다. 꼭 중간에 제가
말씀드린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에가셔서 상담을
받으셔야하며 치료를 미뤄서는 안됩니다.
오늘의 다있는 블.로.그 공황장애의 모든것 여기서
마무리하구요 오늘하루도 감사하게 보내봐요^^
'다 알려드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센병이란?한센병 한눈정리 (0) | 2016.08.08 |
---|---|
당뇨완벽정리 당뇨병완전정복 (0) | 2016.08.05 |
뇌전증 증상 확실정리 (0) | 2016.08.03 |
완벽초간단 김영란법 정리 (2) | 2016.08.02 |
많이자도 적게자도 적정 수면시간 알아보기 (0) | 2016.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