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알려드림302 간단표현 한문/한자 차이점 뜻 표현알아보기 '이름은 한글로 쓰면 되나요?' '아니요 이름은 한문으로 써주세요' 서류같은 곳에 이름을 적을때 흔히 오고갈수 있는 대화입니다. 그런데 이 대화에서 이름을 한문으로 쓴다고 했는데요 바른... 표현일까요? 이름은 한문이 아니라 한자로 쓴다고해야 맞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한문과 한자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한자의 뜻은 중국어에서 사용하는(쓰이는) 글자를 뜻하고 한문의 뜻은 중국 고전에 문장 혹은 한자만으로 쓰여진 문장이나 문학을 뜻(의미)합니다. 이름은 중국 글자로 쓴다는 얘기니까 한자로 쓴다는 말이 올바른 말입니다. 한문 이름이 아닌 한자 이름이 맞다는거 오늘 하나 기억하시죠^^ 2020. 5. 5. 우리말공부 뜻 굽신거리다 굽실거리다 굽실/굽신 차이점 허리를 굽신거리다 가 맞을까요 아니면 굽실거리다 가 맞을까요? 'ㄹ'받침에 굽실거리다 가 맞는 말이라고 합니다. 남에 비위를 맞추느라고 비굴하게 행동하는 모양을 일컫는 굽신굽신도 굽실굽실에 잘못된 말입니다. 굽신을 몸을 굽힌다라고 해석해서 다른단어로 알고있는 분들이 많은데요 표준국어 대사전에도 굽신굽신은 굽실굽실에 잘못된 표현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경비원에게 여러번 굽실거려 겨우 아파트 안으로 들어갔다' '선생님께 계속 굽실거리며 계속 아양을 떨었다' 처럼 'ㄹ'받침에 굽실거리다 굽실대다가 바른표현 이라는것 잘 기억해 두시기바랍니다. 2020. 5. 4. 너무라는 말 뜻 부정적의미로만 매우 아주 무척으로 기분이 정말로 좋을때 너무좋다 라고 말합니다. 정말 맛있는 음식을 먹었을때 너무 맛있다 라고하죠. 사실 '너무' 라는 말은 일정한 정도나 한계에 훨씬 넘어선 상태로 좋지 않다 라는 의미와 어울리는 말입니다. 즉 너무 나쁘다 너무 맛없다 너무 늦다 와 같이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낼때 써야 어색하지 않은 표현입니다. 그런데 너무 좋다 너무 맛있다 와 같이 긍정적인 의미 앞에도 '너무'라는 표현이 상당히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이때는 '매우' '아주' '무척' 등으로 고쳐서 써야됩니다. '너무'라는 말은 부정적인 말에 어울린다는것 오늘 저와 함께 하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0. 5. 3. 간단정리 딥다 디립다 들입다 디따 대따 말풀이 뜻 정보 오늘내린 비는 정말 '디립다' 온다. 그 일만 하느라고 디립다 고생만 했다. 이 두문자에 나오는 디립다 라는 말 저도 자주 쓰는데요 맞는 표현일까요? 디립다가 아니고 '들입다'가 바른말이랍니다. 들입다의 뜻은 세차게 마구 혹은 무리하게 힘을들여서 라는 뜻입니다. 또 들입다의 준말은 '딥다'인데요 그런데 이말도 평소에 디따힘들다 대따어렵다 처럼 디따 대따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 틀린 표현으로 '딥다'라고만 해야지 옳습니다. 오늘은 세차게 마구라는 부사 => 들입다와 줄임말인 딥다 뜻을 알아봤습니다 2020. 5. 2. 이전 1 ··· 3 4 5 6 7 8 9 ··· 76 다음